본 포스팅은 교통 공학자가 최적화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선행 지식들 (1) 최적화 식 포뮬레이션 방법, (2) 복잡한 문제의 근사법과 해결법 (3) 솔버 추천, 구현 및 디버깅 방법 을 다룹니다.
Prerequisite.
- 최적화 문제의 구성 요소 (결정변수, 목적함수, 제약식) 에 대해 알고 있다.
- Optimal solution, lower bound, upper bound 가 무엇인지 알고 있다.
- Linear programming 과 Convex programming 의 standard form 에 대해 알고 있다.
최적화 식 포뮬레이션.
기본적으로 최적화의 기초를 알고 있고 decision variables, objective function, constraints 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지만 막상 내가 풀고싶은 문제를 포뮬레이션 하려니 어려움을 느끼신 적 있으신가요? 제가 생각하는 한가지 좋은 공부 방법은 예제를 잡고 그 포뮬레이션이 어떻게 구성되었나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입니다.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Time Window (VRPTW) 는 잘 알려진 combinatorial optimization 문제입니다. 포뮬레이션이 쉽지 않은 이유는 같은 상황을 수식으로 어떻게 표현하냐에 따라서 문제의 복잡도와 해결법이 달라지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아래 책에 같은 문제를 표현할 수 있는 두가지 방식의 포뮬레이션 (arc-flow formualtion 과 path-flow formulation) 이 설명되어있습니다.
https://epubs.siam.org/doi/10.1137/1.9781611973594.ch5
문제가 어떻게 정의되었는지, 즉 주어진 상황과 값은 무엇이고 어떤것을 결정하고자 하는지 파악한 후, 결정 변수가 어떻게 정의되었고 목적함수는 어떻게 정의되었으며, 현실 상황을 모사하기 위한 제약식은 어떻게 적혀있는지 살펴보면 감이 올 것입니다. 포뮬레이션 할때에는 복잡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야합니다. 문제의 복잡도는 변수의 개수와 제약식의 개수로 정의됩니다.
문제를 더 쉽게 바꾸기 위한 여러가지 relaxation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책에 소개된 Big-M relaxation 이라는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위 제약식 하나때문에 전체 문제가 nonlinear 해집니다. 이를 linearize 하기 위해 Big-M relaxation 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Big-M relaxation 은 weak lower bound 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합니다.
쉬운 수식이지만 이를 떠올리기는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런 트릭에 대한 아이디어들을 얻기 위해서는 본인이 풀고자하는 문제의 선행 연구들의 포뮬레이션을 많이 참고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추가로 포뮬레이션을 그대로 구현하려는 과정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아래 포스팅을 보면 위 책에 나온 포뮬레이션을 그대로 구현해보려고 시도한 사람이 Request size 25명 정도로 작은 문제를 다루는데도 optimality gap 이 크다고 말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답변을 보면 state-of-the-art 는 branch-prize-and-cut 방법이 가장 좋은 해를 준다고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각 문제에서 현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선행 연구 조사가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복잡한 문제의 근사법과 해결법.
이처럼 포뮬레이션이 어려운 이유는 같은 문제를 표현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포뮬레이션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여러가지의 포뮬레이션 중 좋은 포뮬레이션이라고 하면 "풀기 쉬운" 문제 일 것 입니다. 아래 제시된 topology 에서 더 작은 동그라미에 속할 수록 더 풀기 쉬운 문제입니다.
내 포뮬레이션이 어떤 문제에 속하는지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은 standard form 적어 보는 것입니다. LP, IP, Convex programming 의 standard format 정도는 기본적으로 알아두면 좋습니다.
솔버 추천.
솔버를 선택하는 것 조차도 생각보다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개인적으로는 linear 혹은 integer program 을 다룰때는 Gurobi, Convex 문제를 다룰 때에는 MOSEK 를 주로 활용합니다. 모두 무료로 아카데믹 라이센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학계에서 좋다고 평가받는 몇개의 솔버가 있지만 문제별로 성능이 어떨지는 구현해보기전에 정확히 예측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Julia 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는 것을 강력 추천합니다. (1) C++ 만큼 빠르고 python 만큼 쉬우며 (2) 여러 솔버의 전환이 하나의 커멘드 라인 만으로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교통 문제를 그래프를 포함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어떻게 구현하는 것이 좋을지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Gurobi 나 홈페이지에 꽤나 많은 교통 문제 예제를 찾을 수 있습니다.
https://www.gurobi.com/jupyter_models/
구현 및 디버깅.
포뮬레이션이 맞았는지 틀렸는지 확인해보는 방법은 실제로 구현해 보는 것입니다. 이때 목표로 하는 네트워크에 바로 적용하는 것 보다는 단계별로 구현하는 방식이 좋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toy network > Benchmark network > 실제 교통 네트워크 (osmnx) 순서로 적용해보는 편이고, 귀찮아도 시각화를 최대한 많이 해보는 편입니다.
Logging file 을 해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석박사 > 최적화는 사기가 아니얏!' 카테고리의 다른 글
Gurobi 로그 파일 시각화 (log file visualization) (0) | 2023.11.16 |
---|---|
Gurobi Constraint Matrix Format 으로 작성하기 (0) | 2023.11.09 |
Operations Research Cheat Sheet Technical Interview (0) | 2023.01.30 |
nonlinear convex optimization을 푸는 CVXOPT 솔버 (0) | 2022.11.29 |
VRP state-of-the-art solver - LKH, HGS (0) | 2022.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