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석박사/국내 석사 시작하기

논문 처음 쓰는 사람들을 위한 논문 작성법- 학술적 영어 글쓰기

반응형

안녕하세요 ^_^ 오늘은 논문 작성이 거의 없거나, 논문을 처음 작성해보시는 분들께 도움이 될만한것을 공유해보려고해요. 바로 학술적 영어 글쓰기 방법입니다. 사실 대부분의 대학원생분들이 논문 작성법은 따로 배우지 않고 경험적으로 터득하시는 경우가 많죠. 논문 작성이 처음이신 분들은 좋은 논문을 하나 골라서 그 논문의 서술 방식을 따라 써보기도 하고, 여기저기서 좋은 표현들을 따오기도 하고, 연구실 선배나 지도 교수님께 피드백을 받으며 점점 학술적 글쓰기가 뭔지 터득하실 겁니다. 본 게시글의 내용은 제가 석사 시절 학술적 글쓰기 방법에 대한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재구성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논문을 아직 어떻게 써야할지 감을 못잡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공유드려요! 

논문 초안 쓰기, 방법론 파트 작성하기, 결과파트 작성하기, 결론파트 작성하기, 레퍼런스 달기, 초록 작성하기 등등 파트 별로 나누어서 서술되어 있어요.

References 

  • EndNote 등의 문헌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편하다. 특히 저널 서식에 맞게 자동으로 레퍼런스를 생성해주는 기능을 알아두면 좋다. 
  • Reference 작성 방식은 저널마다 서로 다르므로, 반드시 Author guide와 기 발간 논문을 참고하여 작성한다. 
  • Citation은 무조건 문장 끝에 붙이는 것이 아니라 문장 중간이라도 실제로 인용된 부분에 달 수 있다.  저널마다 양식이 다르므로 자세한 것은 저널 규정을 따라야하며 한 문장 내에 두 개 이상의 citation을 구분할 필요가 있으면 중간에 붙이지만 그렇지 않고 일반적인 얘기라면 문장 끝에 붙이는 게 더 깔끔해 보임.

Introduction

  • 연구의 중요성 :  문장은 무조건 연구의 중요성을 서술해야 한다. 이때, 시제는 무조건 현재/현재완료쓴다. 현재시제를 쓰면 앞으로도 해결되지 않을 고질적인 문제다 라는 뉘앙스를 주고, 현재완료 시제를쓰면 우리 연구로 해결될 것이다 라는 뉘앙스를 준다.
  • Background: 연구의 배경지식을 설명한다. 이때 배경지식이 아예 없는 사람에게 설명해준다는 느낌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문장을 전개할 때는 일반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순으로 작성한다. 
  • General Problem: 해당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를 언급하며 시제는 현재/현재완료를 쓴다. 상황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 Brief overview of key research projects in the area: 구체적인 선행연구를 엄선하여 몇가지를 소개한다. 이때는 보통 과거를 쓰는데, 현재 시제를 쓰게 되면  연구는 모두에게 진리로 받아들여진다는 뉘앙스를 준다.leading scholar  key players  제시하며  분야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를 언급한다. quality 있는 연구들을 언급하며 해당 분야의 main 연구 흐름을  짚어내면 리뷰어에게 좋은 인상을   있다.
  • Research gap: 선행연구에서 부족한 부분을 언급한다. 시제는 일반적으로 현재/현재 완료를 쓴다. ‘지금까지는 이런 연구가 없었다(내가  것이다)' 라는 의미를 전달하는 현재완료가 보다 일반적이다. ex)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Few researchers have addressed the problem of~ 
  • Purpose of Research: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다. 시제는 단순 현재 혹은 단순 과거  아무거나 상관없다. 과거를  때는 내가 이미 연구한 ’, 현재를  때는  연구가 지금 보여주고 있다 라는 의미라고  있다. 
  • Methods and Findings: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과 발견점을 간략히 제시한다. 역시나 시제는 단순 과거, 단순현재   가능하다. 
  • 이후 논문의 구성 요약 제시 ex)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 …

Literature 

  • 적절한 선행연구 개수는 최소 15 - 최대 40 
  • 선행연구를 선별하는 기준은 (1)  연구와 연관성이 높은 , (2) 제출하고자하는 저널의 선행 연구 (3) 논문  해당 저널의 quality (4) 최신 연구 순으로 판단한다. 

Method/Methodology

  • Method와 Methodology는 개념이 다소 다르다. method가 더 넓은 개념이고 methodology는 수학적인 모델에 한정하여 쓴다. 최근에는 비슷하게 쓰이는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한 논문 내에서 methodology, method 용어를 섞어 쓰지는 않음.
  • 학술 논문에서는 절대로 I  시작하는 문장을 쓰지 않는다. We  허용되지만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으며 dummy subject(ex. This paper, This study)  사용하여 수동형 문장으로 바꾼다. Thesis(석사 학위 논문)이나dissertation(박사 학위 논문) 경우 본인만이 저자(I 주어)이기 때문에 dummy subject  이용할  밖에 없다. 
  • Method에서 신경  부분은 나의 연구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론을 어떤 구성으로 보여줄 이다. 방법론이 유사한 논문을 2-3 찾아 순서와 내용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Method 파트에서는 예외적으로 다른 논문의 영어 표현들을 많이 참고해서 옮겨 적어와도 무방하다. 
  • Method 파트의 목적은 원론적으로 replication 위한 것이므로 replication 가능할 정도로 자세히 적어야 한다. 
  • Method 파트는 fact 나열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상당한 persuasion  들어간다. Method파트의 실제 기능은  연구가 적법한 절차를 거쳤으며  연구를 제대로 수행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Method 파트에서 발생할  있는 imperfection 묻어두고 언급하지 않으면 리뷰어들이 저자가 문제를모른다고 판단하기 쉽고   문제가   있다. Method 파트에서의 limitation 언급하는 것이 나으며 오히려 좋은 impression  수도 있다. problem, responsibility 축소하고, 좋은 점을 부각하며 해결책을 제안해야한다.(ex. inevitable, immaterial 등의 표현 사용)
  • 보통 현재형을 쓰면 일반적으로 하는 , 거형을 쓰면 나의 special  방법이며 contribution 있음 시사한다.  
  • 하지만 독자 모두가 앞서 말한 뉘앙스를 읽을  있다는 보장이 없으니, 명시적으로 써주는 것이 보다 현명하다. 주로 부사구로 표현하는데, 예를들면 in this study <-> in their work 등의 말로 명확히 표현한다. 
  • 모든 visual  현재 시제로 적는다. (ex. Figure 1 shows~)

Result 

  • Overview of the current section: 두괄식으로 result 전체적인 pattern 설명한다.
  • Intro, Method 섹션에서 언급했던 내용을 간단히 요약: 일반적으로 독자들이 논문 전체를 읽기보다 발췌독하기 때문에 독자를 배려한다면 요약하는 것이 좋다. 
  • Visual 함께 결과를 제시
  • 많은 저자가 Visual  단순히 제시하고 자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 실수를 범하는데, visual 없이도 완벽하게이해될 정도로 자세히 설명해야한다. 가장 좋은 것은 텍스트와 visual이 독자적으로 각기 완벽한 기능을 수행하여 텍스트만 봐도 이해가 가능하고 visual만 봐도 한 눈에 패턴이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 숫자를 언급할 때는 comment  필요하다. ,  값이 좋은지 나쁜지, 좋다면 얼마나 좋은지 등의 뉘앙스를불어넣어야 한다. ex) Temperature increase to 49 and soon decrease to as low as 30 
  • 일반적으로 visual  처음 나올 때는 Figure 1 shows (혹은 Table 1 shows) 처럼 Figure(혹은 Table) 문장의 주어로 삼도록 한다. 글만  읽어 내려가던 독자에게 이제부터는 visual 함께 봐야해 라고 집중시켜주는효과가 있다. 
  • Result 후에는 선행연구와 비교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선행연구 결과와 같은지 다른지에 대한 언급이필요하며, 다르다면  다른지를(세팅의 차이, 샘플의 차이 ) 서술해야한다.  

Discussion Conclusion

  • 이전에 썼던 내용 리뷰: summary  한다는 생각으로 연구 목적, 방법론, 결과 등을 간략히 한 단락 정도로 정리한다. 주의할 점은 새로운 내용, 새로 언급되는 선행연구가 있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 Where and how the present work fits into the research ‘map’ of this field: 우리 연구가  연구 흐름 속에서 어디에위치해 있는지, 어떤 의미를 가질  있는지에 대해서 최대한 명확하게 서술해야한다. 
  •  연구의 achievements 대한 meaning  implication 제시한다. Result 파트와 다른 점은  결과의 가능한mechanism 제시해야한다는 것이다.  경우 추측하는 것이므로 조동사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해진다. may, might, could, can, should, ought to, need to, have to, and must  조동사의 뜻과 역할을 명확히 공부하도록 하자. 아래에는 가장 헷갈리기 쉬운 몇가지 사실들을 담았다. 
  • 조동사+have p.p 단순 과거를 의미한다. (may 대신 might  쓰고 과거라고 주장해선 안된다. )
  • 추측의 의미로 쓰일 (증거가 없을 때) might, may, should, must 순으로 뒤로  수록 추측의 강도가 세진다. 
  • contribution 서술해야한다. *** 기존에 못했던 것을 하나라도 보탠 것은 contribution 이다.  연구의 novelty  명확히 하도록 한다. 
  • Application 적용 가능성을 서술해야한다. *** 최대한 구체적으로 적어야 하며, introduction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한다application 없는 분야의 경우 지어내서  필요는 없고 생략한다. 
  • Limitation&Future research: method 파트와 다르게 여기서의 limitation 기능은 정말로 크리티컬한 한계점이나 분석의 오류를 논하는 파트가 아니다.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기 위한 문장이다. 

Abstract 

  • Abstract  논문을 구성하는 다른 파트들과 다르게  자체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논문의 모든 구성을 담는 Summary 타입이 일반적이다.   
  • 일반적으로 리뷰할  abstract 부터 읽고  자세히 볼지 여부를 결정하는 독자들의 특성을 생각해보았을 abstract에서는 contribution 명확히 하고 논문의 우수성을 충분히 반영하는 것이 좋다. 또한 수치와 함께 정확한 결과를 제시하면 인용의 가능성이 커진다. 

Miscellaneous

  • 한 단락은 한 개의 문장으로 구성되지 않으며, 두 개 이상의 문장으로 구성하는 것이 원칙이다. 
  • but 은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대신 however  쓰도록 한다. 비슷하게 절을 이어주고 싶었다면 although 쓰도록 한다. 
  • ,so 대신 ,so that  쓰는 것을 권장하며 이보다는 단문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작성하는 것이 좋다. 어렵다면 thus, therefore 등을 쓰는게 더 좋다. 참고로 ‘,so that’은 그래서라는 의미인 반면, ‘so that’은 ~하기위해 라는 뜻으로 콤마 사용으로 뜻이 달라지니 유의해야한다. 
  • however, nonetheless  이후 나오는 문장을 강조하는 기능이 있는 튀는 접속사이기 때문에 문법적 오류에 주의하도록 하자. 또한 However 등은 매우 강한 표현이므로, 주로 주어와 동사 사이에 배치해서 너무 튀지 않도록 해주면 좋음.
  • 한국어는 쉽게 생략하는 특징이 있는 반면, 영어는 그렇지 않다. 한국어 문장을 번역기에 돌려 영어문장을 생성하면 종종 주어가 생략되어 문법적 오류가 발생하거나 어색해지는 경우가 있으니 이에 유의하자. 
  • 관사를 비롯한 기타 문법들은 Element of style 파일을 참고한다.
  • 부사와 관사 등의 error는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문장의 의미를 다르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 
  • Colon: 뒤에는 명사구 list 가 오고 semi-colon 후에는 절의 list 가 온다. 
  • 10 미만의 숫자는 text로, 그 이상은 숫자로 표기한다. ex) Five locations, 13 stations…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혹시나 다른 의견이나 첨언하고 싶은게 있으신 분들은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래요~~

다음에는 기회가 있다면 intro/method/result 등등 파트별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표현들과, 논문 작성시 도움이 될만한 사이트와 프로그램을 자세히 다뤄보도록 할게요~!

 

<Latex으로 논문 작성 생산성 향상하기>

https://youngseokim.tistory.com/31?category=880572

 

latex으로 논문 작성하기 [입문편]

latex으로 논문을 작성하기위한 기본 세팅 방법입니다. Latex문법을 사용하기위해서는 latex 에디터가 필요한데요, 공동작업이 용이한 online latex 편집기인 overleaf를 이용해보겠습니다. 우선 목표하는 저널 홈..

youngseokim.tistory.com

 

반응형